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오블완
- TS
- MySQL
- Javascript sort
- 자바스크립트 배열
- 자료구조
- 알고리즘
- 프로그래머스 자바스크립트
- 자바스크립트 정렬
- js 알고리즘
- 정렬 알고리즘
- 프로그래머스
- 정규표현식문제
- 프로그래머스 신규아이디추천
- node.js
- 키패드누르기풀이
- binary search
- TypeScript
- 좌표거리구하기
- mysql스키마
- next.js
- 티스토리챌린지
- 프로그래머스 자바스크립트 풀이
- 자바스크립트 알고리즘
- JavaScript
- 맨해튼거리예제
- 맨해튼거리
- 깃허브
- 타입스크립트
- Javascript 정렬
- Today
- Total
목록전체 (72)
FE PARADISE

zsh: command not found: nodemon 에러 등장 nodemon을 실행하고 보게 된 에러다 🙀 zsh: command not found: nodemon [npm 에러] npm ERR! code EACCES 해결하기 - mac npm i -g nodemon으로 nodemon을 전역 설치하려던 중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🙀 npm ERR! code EACCES 해결하는 방법 mkdir ~/.npm-global 먼저 npm-global 폴더를 사용중인 PC의 홈에 생성해줍니다. npm config set prefix ~/.n fe-paradise.tistory.com 이 방법으로 nodemon을 전역 설치하고 프로젝트 내에서 nodemon을 실행하자마자 새로운 에러를 마주했다. 다른 프로젝트에선..

npm i -g nodemon으로 nodemon을 전역 설치하려던 중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🙀 npm ERR! code EACCES 해결하는 방법 mkdir ~/.npm-global 먼저 npm-global 폴더를 사용중인 PC의 홈에 생성해줍니다. npm config set prefix ~/.npm-global 이후 npm 디렉토리 위치를 좀 전에 만든 npm-global로 설정해줍니다. 그 후 환경변수를 설정해주어야 합니다. 우선 홈으로 이동합니다. cd ~ .bashrc를 사용 중이라면 nano .bashrc를 실행합니다. .bash_profile를 사용 중이라면 nano .bash_profile를 실행합니다. 그 후 아랫줄을 export PATH=~/.npm-global/bin:$PATH 실행되어진..

git branch 개발을 한다면 필수로 사용하게 되는 git! git의 기능 중 하나인 branch를 이용하면 여러 작업을 한번에 수행하고 작업별로 따로 관리하기 편리해집니다. 브랜치? branch? 필수 사용? 회사 프로젝트를 개발하던 중 UI 리디자인 작업, 유저 플로우 변경, 세세한 버그 및 디자인 조정 등 여러 작업을 한번에 하다보니 😵💫 branch 사용이 필요한 순간이 왔습니다. 필수적이진 않지만 사용하면 아주 편리한 branch를 사용해야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? 브랜치를 이용하면 여러 작업(스타일 수정, 버그 수정, 유저 플로우 수정 등등)을 한번에 수행 가능! A 작업을 진행 중인데 B 작업을 급하게 해서 사이트에 업로드 해야하는 경우, 완료되지 않은 A 작업은 놔두고 B 작업만 업로..

사이트에 지속적인 배포를 하려면 버전 관리가 필요하다. 해당 포스트는 Next.js 프로젝트에서 웹사이트 버전을 관리한 내용을 간단히 작성하였다. package.json에 버전 설정하기 package.json을 보면 위의 사진과 같이 버전 version을 설정할 수 있다. 위는 현재 웹사이트 버전을 1.0.0으로 설정하였다.버전 설정 Semantic versioning 은 다음을 참고해 보자!💡 웹(앱) 버전 규칙 Semantic versioningMajor.Minor.PatchMajor → 대규모 업데이트 사항 발생 시. 이전 버전과 호환되지 않는 정도의 큰 변화를 주는 경우Minor →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경우Patch → 이슈, 버그 해결 시 등 간단한 수정을 한 경우 그럼 이제 이렇게 설정한 ..